베를린 공수작전
1. 항공력의 또다른 능력

베를린 공수작전 당시 모습
- 제2차 세계대전 후 독일을 미국, 영국, 프랑스, 소련 등 4개국이 분할 점령한 상태에서 소련은 베를린을 소련의 세력 범위내로 통합하려 의지를 가시화하였다. 소련은 베를린시의 모든 지상교통망을 차단하여 고립시키고, 미국을 비롯한 서방측의 후퇴를 강요하였다.
- 이에 미국은 베를린시가 계속 유지될 수 있도록 10개월 동안 전적으로 항공력에 의한 공수작전을 실시하였다. 공수작전은 277,804회를 수행하였고, 223만톤의 물자와, 57,000명의 인원을 수송하였다.
- 이 작전을 통하여 항공력은 직접적인 전투 이외에 군수분야에 있어서도 혁신적인 가능성을 예고하였다.항공력에 의한 공수능력이 전략적인 가치를 갖고 있음을 모두에게 인식시켰던 것이다. 항공력이 자유롭게 운용되는 한, 도시에 대한 물자공급의 차단과 지상의 고립도 항공력에 의하여 더 이상 정치적 강압의 수단으로 작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2. 평화적 운용 능력
1940년대 말 당시 베를린에서 항공력은 직접전투 이외의 역할을 매우 효과적으로 수행하였다. 항공력은 베를린 공수작전을 통해 전략적 수송능력을 입증하였고, 비살상용 전력으로서 평화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또한 지리적인 고립과 기상장애를 극복하고, 세계 어느 곳이든 화물과 인원을 대규모로 수송할 수 있으며, 그것이 정치적인 위협을 압도할 수 있다는 사례를 만들었다. 이것은 철의 장벽과 냉전의 시대에 베를린에서 이룩한 서방측의 가장 위대한 승리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