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OP GUN
- 한국 공군은 1955년 제트기를 도입한 이후 1960년부터 ‘TOP GUN(탑건)’을 선정하여 왔다. 1960년부터 2008년까지는 조종사들의 실전적인 훈련방향을 유도하기 위해 공중사격대회 에서 최고의 성적을 거둔 조종사를 탑건으로 선정하였다. 그러나, 2009년부터는 조종사들의 비행경력, 비행훈련과 작전참가 실적, 사격기량, 평가결과 등을 토대로 한 해 동안 모든 임무에 서 가장 뛰어난 활약을 펼친 최우수 조종사를 「TOP GUN」으로 선정하도록 제도를 변경하였 다.
개발성과
상세정보의 아이콘을 클릭하시면 TOP GUN의 상세정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순서 | 개최일자 | 특기사항 | 상세정보 |
---|---|---|---|
1 | '60.8.25∼8.26 | 3개 비행단 6개 대대가 참가 / 한국공군 최초의 Top Gun 탄생 | |
대위 김인기(공사 3기, F86) |
|||
2 | '61.10.18∼10.21 | '화살작전'이라는 작전명으로 수원기지에서 개최 | |
|
|||
3 | '62.11.15∼11.19 | ||
대위 박창수 (공사 7기, F-86) |
|||
4 | '63.12.3∼12.5 | ||
소령 김종무 (공사 4기, F-86) |
|||
5 | '64.11.16∼11.18 | ||
대위 이균형 (조종 8기, F-86) |
|||
6 | '65.11.21∼11.24 | ||
중령 탁영호(공사 2기) |
|||
7 | '66.12.2∼12.7 | ||
대위 박 웅 (조종 10기,F-86) |
|||
8 | '67.6.19∼6.26 | ||
|
|||
9 | '68.11.12∼11.14 | ||
대령 김상광 (조종 2기, F-5A/B) |
|||
10 | '69 .6.23∼6.27 | '작사승공작전'으로 명칭 변경 | |
중령 한창선(조종 7기, F-5A/B) |
|||
11 | '70 .10. 30 | 기종별 최우수사격수 선정 | |
|
|||
12 | '71.11.23 | 야간사격 과목으로 확대 | |
대위 이홍우 (공사 12기) |
|||
13 | '72.11 | 기종별 최우수사격수 선정 | |
|
|||
14 | '73. 3.20∼3.22 | ||
중령 박창수 (공사 7기) |
|||
15 | '74.11.18∼12.7 | ||
대위 김종식 (공사 18기) |
|||
16 | (전) '75. 5.12∼17 (후)'75.10.20∼23 | 전.후반기로 나누어 사격대회 실시 | |
소령 최동철 (공사 16기, 후반기 최우수사격수) |
|||
17 | (전)'76.5.18∼26 (후)'76.12. 1∼17 | 전.후반기로 나누어 사격대회 실시 | |
|
|||
18 | (전)'77. 5.31∼6. 9 (후)'76.12. 1∼17 | 전.후반기로 나누어 사격대회 실시, 후반기에는 야간 근접지원항공작전 능력 및 공대공 사격능력 포함 | |
|
|||
19 | (전)'78.5.29 ~ 30 (후)'78.11.21∼22 | 전.후반기로 나누어 사격대회 실시 | |
|
|||
20 | '79. 6.12 ~ 14 | 주간사격과 야간사격으로 분리하여 최우수사격수 선정 | |
|
|||
21 | '80.10. 6∼10 23 | 기종별 최우수사격수 선정 | |
|
|||
22 | '81.12. 8 | 기종별 최우수사격수 선발 | |
|
|||
23 | '82. 9.13∼23 | 본 대회부터 최우수사격수 1명만을 선발 | |
대위 박보선 (2특 4기) |
|||
24 | '83. 9.12∼30 | 공대지, 공대공, 전천후폭격, 자동화 투하폭격 등을 사격장별로 나누어 실시 | |
소령 김영안 (학군 1기) |
|||
25 | '84 .5.16∼24 | ||
소령 정 구 (공사 25기) |
|||
26 | '85.10. 15 ~ 29 | ||
소령 이용걸 (2특 4기) |
|||
27 | '86.11.3 ~ 8 | ||
소령 성도홍 (공사 24기) |
|||
28 | (전)'87. 8.10 (후)'87.11. 9∼17 | F-16 항공기 최초로 공대지사격 시범출전(제161대대) | |
소령 송명진 (공사 25기) |
|||
29 | (전)'88. 5. 9∼13 (후)'88.11.10∼23 | 최우수사격수를 'TOP GUN(탑건)'으로 호칭 | |
소령 김민규 (2사 2기) |
|||
30 | (전)'89.5.16∼20 (후)'89.10.23∼26 | ||
중령 하왕규 (공사 25기) |
|||
31 | (공대지)'90.10.16∼19 (공대공)'90.10.22∼26 | 기종별 최우수대대 선정 | |
소령 박춘기 (공사 29기) |
|||
32 | (공대지)'91.10.22∼28 (공대공)'91.10.28∼30 | 균등한 사격기량 향상을 위해 조종사를 무작위 선발하여 실시 | |
중령 정표수 (공사 27기) |
|||
33 | '92.10.12∼22 | 지원기 임무수행능력 평가까지 확대 | |
중령 남궁완 (공사 27기) |
|||
34 | '93.10. 25∼11.3 | ||
소령 윤삼구 (공사 33기) |
|||
35 | '94.10.31∼11.11 | '승공작전'에서 '보라매 공중사격대회'로 명칭변경 | |
소령 김흥섭 (공사 32기) |
|||
36 | '95.10.9∼10.26 | 공대공 과목에 유도탄사격 실시 | |
소령 장영익 (공사 31기) |
|||
37 | '96.11. 4∼12. 6 | 공대공 과목 유도탄사격 범위 및 공대지 배점기준 보완 | |
소령 윤정배 (공사 35기) |
|||
38 | '97. 9. 8∼10.23 | ||
소령 윤상원 (공사 36기) |
|||
39 | '98.10.15∼10.27 | KF-16 최초참가, F-5A 공중사격과목 추가 | |
대위 성재용 (공사 41기) |
|||
40 | '99.10.25∼11.3 | ||
소령 김형호 (공사 34기) |
|||
41 | '00.10.9∼10.18 | 공중요격 평가 미실시, F-5A/B 참가 제외 | |
대위 이준선 (공사 42기) |
|||
42 | '01.10.22∼11.1 | 공대지 평가는 웅천사격장에서 실시 | |
대위 이길춘 (공사 42기) |
|||
43 | '02.9. 9∼10.10 | 전투기 결함 빈발로 지원기만 개최(항공정찰, 표적마킹, 탐색구조, 공중투하만 실시) | |
|
|||
44 | '03.10.20∼10.30 | 중고도 생지표적 공격능력(X-ATK) 과목 추가, GPS-ACMI Pod를 장착하여 평가 실시 | |
대위 이형만 (공사 44기) |
|||
45 | '04.10.18∼10.27 | 중고도 사격시 편대규모 축소 운영(4기 -> 2기), 생지표적 X-ATK 과목 추가 시행, GPS-ACMI 체계를 활용한 평가 및 통제 | |
소령 허근호(공사 39기) |
|||
46 | '05.10.19∼10.27 | 중고도 생지표적 공격(X-ATK)시 표적 증가운영(3개 -> 8개), ROE준수 위한 벌칙 강화(2회 반칙시 대대시상 제외) | |
대위 고현철(공사 45기, KF-16) |
|||
47 | '06.10.16~10.27 | XATK 표적지역 확대 및 유사표적 선공, KF-16 LOFT 공격방법(저고도→중고도 Level) 개선 등 실전에 부합한 평가방법 적용 | |
대위 김재민(공사 44기, KF-16) |
|||
48 | '07.10.17~10.26 | F-15K 시범참가, 전 과목 AIS Pod 장착 운영 | |
대위 이우범(공사 49기,KF-16) |
|||
49 | '08.10.15~10.28 | ||
대위 박문범(공사 50기,KF-16) |
|||
50 | 2009년 | 최우수 조종사를 「TOP GUN」으로 선발 | |
중령(진) 이진욱(공사 41기, F-15K) |
|||
51 | 2010년 | ||
소령 우창효(공사 47기, KF-16) |
|||
52 | 2011년 | ||
소령 신건우(공사 45기, F-15K) |
|||
53 | 2012년 | ||
소령 이형재(공사 47기, F-15K) |
|||
54 | 2013년 | ||
소령 김태석(공사 50기, KF-16) |
|||
55 | 2014년 | ||
소령 고대산(공사 50기, F-15K) |
|||
56 | 2015년 | ||
소령 안영환(공사 51기, F-15K) |
|||
57 | 2016년 | ||
소령 김학선(공사 51기, F-15K) |
|||
58 | 2017년 | ||
소령 김상원(공사 51기, F-16) |
|||
59 | 2018년 | X-INT 이동형 SCUD 모의표적 운영 전투기 전술데이터링크(TDL) 체계 평가 반영 |
|
소령 이재수(공사 54기, F-15K) |
|||
60 | 2019년 | F-16계열 야간폭격 무장변경(JDAM→AGM-65) XINT 이동 표적에 대한 Lead Lasing 공격 실시 |
|
소령 조영재(공사 55기, F-15K) |
|||
61 | 2020년 | 全 기종 공대지/공대공 과목 분리 평시사격점수(CEA) 배점 상향(5%→20%) |
|
(임)소령 한재석(공사 59기, KF-16) |
|||
62 | 2021년 | F-35A 공대지폭격 시범참가 '보라매 공중사격대회'에서 '작전사 공중사격대회'로 명칭 변경 |
|
대위 최준상(학사 138기, FA-50) |
|||
63 | 2022년 | F-35A 최초참가 '작전사 공중사격대회'에서 '공작사 공중사격대회'로 명칭 변경 |
|
대위 김유준(공사 59기, F-15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