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278 RSS 2.0 3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영원한 빛 추모비 작성자 정훈공보실 조회 829 첨부파일 1 작성일 2014.02.06 6・25전쟁 60주년을 맞이하여 공군사관학교 출신 전・순직 조종사와 동승근무자로서 순직한 모든 공중근무자들을 추모하기 위하여 2010년 7월 공군사관학교에 ‘위국헌신’의 상징으로 ‘추모광장’ 조성 및 ‘추모비’ 를 건립하였다. ‘영원한 빛’ 추모비는 6・25전쟁 및 이후 현재까지 공중근무 중 전사・순직하신 분들에 대한 모든 공군장병은 잊혀지지 않는 ‘영원한 빛’으로 추모하고, 우주를 향한 미래지향적 공군의 위상과 더불어 금강석 같은 공군 전・순직자의 고귀한 비상을 ‘빛’으로 형상화하여 영원한 상징성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부자 조종사 흉상(박명렬, 박인철) 작성자 정훈공보실 조회 962 첨부파일 1 작성일 2014.02.06 故 박명렬 소령은 1978년 4월 공사 26기로 임관하여 공군 제17전투비행단 소속 F-4E 전투기 조종사로써 1984년 3월 14일 한・미 팀스피리트 훈련에 참가, 대규모 지상폭격 임무수행 중 순직하였으며, 아들인 故 박인철 대위는 2004년 3월 공사 52기로 임관하여 공군 제20전투비행단 소속 KF-16D 전투기 조종사로써 2007년 7월 20일 야간요격 훈련 중 서해안 상공에서 순직하였다. 父子조종사 흉상은 조국의 영공을 지키다 산화한 고인들의 숭고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사단법인 한국국방안보포럼(KODEF) 및 ‘유용원의 군사세계’ 회원의 성금과 후원금으로 2009년 7월 20일 건립되었다. 2010년 2월 12일 국가보훈처 ‘현충시설’(관리번호 25-2-62)로 지정되었다. 임택순 대위 동상 작성자 정훈공보실 조회 818 첨부파일 1 작성일 2014.02.06 공사 1기생 고 임택순 대위는 학교 창설 후 첫 전사자로 1953년 3월 6일 고성지구 전투에서 산화하였다. 공군사관학교 최초로 호국의 별이 된 큰 뜻과 하늘에 살다간 고귀한 정신을 추모하고자 제8기 사관의 졸업기념 사업으로 1960년 3월 19일 전장 5.7m(실제동상의 높이 2.25m)의 동상(조각 : 박일헌 선생)을 서울 대방동 성무대에 건립하였다. 좌대에는 이승만 대통령의 휘호인 ‘무용’을 조각하였다. 대방동 성무대 시멘트 동상이 청원캠퍼스로의 이전이 불가능하자 공사 총동창회의 동상복원건립계획(기념사업)에 의거 1기 사관부터 33기 사관까지 졸업생의 정성을 모아 1986년 3월 8일 청동주물로 재건립 후 ‘영원한 빛’ 추모비 건립과 연계하여 2010년 6월 15일 현재의 위치에 정착되었다. 본 동상은 2010년 6월 9일부로 국가현충시설(관리번호 25-2-66) 및 공군군사재 제13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조각 후면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새겨져 있다. 1930년 12월 31일 출생.본교 제1회 졸업생으로 한국전쟁 출격 중 1953년 3월 6일 고성 상공에서 전사하시다. 본교 출신 중 최초로 호국의 별이 되신 큰 뜻을 기리기 위하여 1기 사관부터 33기 사관까지 졸업생의 정성을 모아 이 상을 세운다. 몸은 비록 가셨어도 그 얼은 더욱 큰 별이 되어 성무대 언덕을 길이 비추리라 처음 11 1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