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ctId=bbs,fnctNo=277 RSS 2.0 4 건 게시물 검색 제목 작성자 공통(상단고정) 공지 게시글 게시글 리스트 국민성금 헌납기(T-6 건국기) 작성자 afa01 조회 542 첨부파일 1 작성일 2019.01.15 T-6 건국기는 1935년 설계 제작된 North American Aviation 사의 T-6 텍산 (Texan)을 캐나다에서 라이센스로 생산한 훈련기로, 기존 T-6을 기반으로 최소한의 대지공격능력을 부여한 AT-6모델이다. 1950년 5월 도입 후 6·25전쟁 초기에는 폭격 작전에 투입되었으며 주로 정찰, 대지공격, 조종사 훈련용으로 운용되었다. 1950년 5월 당시 30만 달러의 국민 성금으로 캐나다에서 T-6 10대를 도입하고 ‘건국기’라고 명명했다. 캐나다에서 퇴역해 민간에 넘어간 T-6 10기를 구매하면서, 본체 이외에도 비행기에 탑재하기 위한 M2 기관총 20정과 탄약 5000발, 1년분 부속품과 연료도 함께 구입했다고 한다.전국적인 모금 운동을 통하여 국민들의 성금으로 구입한 항공기로서 군과 국민의 상호 신뢰적 관계를 상징하며, 자주국방의 의지를 담아 구입한 항공기라는 점에서 등록 가치가 있다.수량 : 1대면적 : 기장(세로)9.0×기폭(가로)12.8×기고(높이)3.9(m) 대한민국 최초 운용전투기(F-51D) 작성자 afa01 조회 535 첨부파일 1 작성일 2019.01.15 F-51D 무스탕 전투기는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7월 2일 우리 공군이 미국으로부터 인수해 최초로 운용한 전투기로, 전쟁기간 동안 북한군에 대해 괄목할 만한 작전을 펼친 한국 공군의 주력기였다.역사적 가치가 높고 항공기 운용 기술, 조종사 훈련 등에 활용되어 우리나라 공군력 근대화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는 점에서 등록 가치가 있다.수량 : 2대면적 : 기장(세로)9.8×기폭(가로)11.3×기고(높이)4.2(m) 국산 1호 항공기 부활(문화재청 등록 제411호) 작성자 정훈공보실 조회 1096 첨부파일 1 작성일 2014.02.06 연혁'53년 6월 항공기 설계/제작 실습과 연습기 제작 필요성 제기(공군기술학교 정비교육대)'53년 10월 11일 국산 1호 항공기 제작, 시험 비행 성공′54년 4월 3일 이승만 대통령 ″復活″휘호 하사, 명명식 거행(김해기지)부통령 및 국방장관, 한· 미 군 수뇌부 참석제작 참여 정비사 : 은성화랑무공훈장 수여′55년~′60년 대구 항공대학에서 연습기로 활용제원기장 : 6.6 m중량 : 380kg기고 : 3.05m추력 : 85마력(4기통)기폭 : 12.7m m최고속도: 180Km장착기관 : O-190-1(O-85-8FJ)복원경위′03년 12월 17일「중앙일보」기사보도″국산1호 항공기 부활호를 찾습니다″대구경상공고 퇴직자가 소재 제보′04년 1월 13일 경상공고 에서 부활호 발견′04년 4월 30일 부활호 회수 및 복원 추진′04년 5월 12일 부활호 복원전담팀 구성(81창)′04년 6월 9일 부활호 인수(경상공고→ 81창)′04년 10월 22일 부활호 완전 복원 성공′04년 12월 공군사관학교 이관 전시′09년 10월 국가지정 등록문화재 (제 411호) 지정 대한민국 최초 항공기(L-4 연락기) 작성자 정훈공보실 조회 1011 첨부파일 1 작성일 2014.02.06 1940년대 미국에서 생산되어 제2차 세계대전 중 미 육군이 사용하던 2인승 연락용 경항공기이다. 1948. 9. 13. 대한민국 공군의 전신인 육군항공대가 미군으로부터 인수한 10대 중 1대로 우리나라 공군으로서 보유한 최초의 항공기이다. 6.25전쟁 초기 후방석의 관측사가 폭탄을 품에 안고 출격, 투척하여 적에게 큰 피해를 입히고 여수/순천사건의 진압 및 지리산 공비 토벌작전에서 공중지원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항공기로서 이후 육군에 파견되어 연락, 지휘관 수송, 조종사 양성과 정비사 교육에 사용되다 1954년 L-19 연락기 도입에 따라 퇴역한 기종으로 대한민국 공군사에 큰 족적을 남긴 유물이다.상세정보 - 종목 : 등록문화재 제 462호 - 명칭 : 대한민국 최초 항공기(L-4 연락기) - 수량 : 1대 - 지정(등록)일 : 2010. 6. 25. - 소재지 충북 청원군 남일면 쌍수리 136 공군박물관 - 소유자(소유단체) : 공군본부 처음 11 1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