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동기

대한민국 공군의 태동(胎動)은 1910~20년대 일제로부터 잃어버린 주권을 찾기 위해 국내·외에서 진행된 '독립운동'에서 그 맥(脈)을 찾을 수 있다. 특히 상해 임시정부 안창호 선생의 항공기 구입 시도와 미국 켈리포니아주에 한인 비행학교(윌로우즈)를 설립한 것 등이 '항공독립운동'을 위한 실제적인 활동이었으며, 비행사 양성은 한인이 세운 비행학교와 중국/소련의 비행학교에 위탁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920년대에 양성된 한인 비행사들 중 일부는 상해 임시정부로부터 비행병 참위(현, 소위)에 임명되었으며, 일부는 중국 국민정부 항공대 창설 멤버 및 중국 공군 항공대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1930년대에는 한인 비행사들이 중국 항공대 일원으로 중일전쟁에 참가하여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1944~1945년 상해 임시정부에서는 공군설계위원회를 결성하고 '한국 광복군 비행대' 창설을 준비하는 등, 공군 건설에 노력하였으며 미군과 합동작전을 펼쳐 한반도로 진격하는 '국내진공작전'을 준비하였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무산되었다. 국내진공작전에 대한 아쉬움을 가진 임시정부 광복군은 1945년 8월 18일 정진대(挺進隊)를 앞세워 C-47 항공기를 이용하여 중국 서안(西安)에서 한국의 여의도 비행장으로 비행하였으며 항복한 일본군과 대치하여 일촉즉발 직전까지 돌입하기도 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해외에서 활동하던 항공인들이 국내로 귀국하여 민간 항공단체를 결성하고 항공思想 보급 및 활동이 활발히 전개하였다. 그러나 민간단체의 활동만으로는 국방의 일익을 담당할 수 없다고 판단한 항공인들에 의해 '한국항공건설협회'가 결성되고 미군정 및 통위부(현, 국방부)에 항공부대 창설을 건의, 1948년 3월 '경항공기부대' 창설을 승인받아 5월 5일 통위부 직할부대로 항공부대가 창설되어 대한민국 공군이 탄생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고, 1948년 9월에는 미군으로부터 L-4항공기를 인수하여 한국군 최초로 항공기를 보유하게 되었다.
1948년 11월 국군조직법 제정되던 당시에 육군과 해군은 정식으로 창설되었으나 공군은 창군되지 못하고 공군 독립 근거(국군조직법 제23조)를 마련하는데 만족해야 했다. 이후 항공부대의 계속적인 발전과 함께 공군의 창군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한 결과, 1949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254호(공군본부직제)에 의거하여 공군이 탄생되었다.
1920년대에 양성된 한인 비행사들 중 일부는 상해 임시정부로부터 비행병 참위(현, 소위)에 임명되었으며, 일부는 중국 국민정부 항공대 창설 멤버 및 중국 공군 항공대 일원으로 활약하였다. 1930년대에는 한인 비행사들이 중국 항공대 일원으로 중일전쟁에 참가하여 항일운동을 계속하였다. 1944~1945년 상해 임시정부에서는 공군설계위원회를 결성하고 '한국 광복군 비행대' 창설을 준비하는 등, 공군 건설에 노력하였으며 미군과 합동작전을 펼쳐 한반도로 진격하는 '국내진공작전'을 준비하였으나 일본의 항복으로 무산되었다. 국내진공작전에 대한 아쉬움을 가진 임시정부 광복군은 1945년 8월 18일 정진대(挺進隊)를 앞세워 C-47 항공기를 이용하여 중국 서안(西安)에서 한국의 여의도 비행장으로 비행하였으며 항복한 일본군과 대치하여 일촉즉발 직전까지 돌입하기도 하였다.
1945년 해방 이후에는 해외에서 활동하던 항공인들이 국내로 귀국하여 민간 항공단체를 결성하고 항공思想 보급 및 활동이 활발히 전개하였다. 그러나 민간단체의 활동만으로는 국방의 일익을 담당할 수 없다고 판단한 항공인들에 의해 '한국항공건설협회'가 결성되고 미군정 및 통위부(현, 국방부)에 항공부대 창설을 건의, 1948년 3월 '경항공기부대' 창설을 승인받아 5월 5일 통위부 직할부대로 항공부대가 창설되어 대한민국 공군이 탄생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고, 1948년 9월에는 미군으로부터 L-4항공기를 인수하여 한국군 최초로 항공기를 보유하게 되었다.
1948년 11월 국군조직법 제정되던 당시에 육군과 해군은 정식으로 창설되었으나 공군은 창군되지 못하고 공군 독립 근거(국군조직법 제23조)를 마련하는데 만족해야 했다. 이후 항공부대의 계속적인 발전과 함께 공군의 창군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주장한 결과, 1949년 10월 1일 대통령령 제254호(공군본부직제)에 의거하여 공군이 탄생되었다.
- 1919
- 11.05
- 대한민국임시정부 임시관제 군사편 '육.해군 비행대' 편성기획
- -
- 임시정부 독립군 비행학교 설립 추진
- 1920
- -
- 상해 임시정부(도산 안창호) 비행기 구입 시도
- 03.02
- 대한민국임시정부 시정방침 군사편 '비행기대' 편성 기획
- 07.05
- 대한민국임시정부 한인 비행학교(윌로우스 비행학교) 정식 개소
- 1921
- 04
- 대한민국임시정부 한인 비행학교 폐교(대홍수로 비행훈련불가)
- 1925
- 02.11
- 한국인 최초의 여성 비행사 권기옥, 운남 비행학교 졸업
- 1926
- -
- 최용덕, 권기옥, 이영무 등 장개석 국민정부 항공대 창설멤버 활약
- 1943
- 03.30
- "대한민국임시정부 暫行管制(정부조직에 관한 조례)" 공포
- 08.19
- 대한민국임시정부 '공군설계위원회 조례' 공포
- 1944
- -
- 임시정부 군무부 '공군설계위원회 결성' 및 '국내진공작전' 준비
- 1945
- 10.06
- 조선항공대 등 항공단체를 해체하고 '조선항공협회' 창설
- 1946
- 08.10
- '한국항공건설협회' 창립(초대 회장 최용덕)
- 1948
- 03
- 미 군정당국 조선경비대 경항공기부대 창설 승인
- 04.01
-
항공부대 창설간부 7인 조선경비대 보병학교 입교
*창설간부 : 최용덕, 장덕창, 이영무, 박범집, 김정렬, 이근석, 김영환
- 05.05
- 조선경비대 내에 '항공부대' 창설
- 09.13
- 항공기지부대를 항공기지사령부로 승격
- 07.27
- 항공부대를 항공기지부대로 개칭
- 09.04
- L-4 항공기 10대 인수(한국군 최초 항공기)
- 09.13
- 항공기지부대를 항공기지사령부로 승격
- 10.14
- L-5 항공기 2대 도입
- 1949
- 01.14
- 육군항공사관학교(공군사관학교 전신) 설치
- 02.15
- 여자항공교육대 창설
- 10.01
- 대한민국공군 창군(공군본부 직제령 공포)